삐틀빼틀 쓴 글씨

2022. 9. 7. 09:08

옛사람이 이르기에
'마음이 바르면 글씨가 바르게 된다'고
하였다. 대저 글자를 쓴 다음의 공교함과
졸렬함은 아직 서툰지 익숙한지에 달려 있지만,
글자의 점과 획, 테두리는 바르고 곧고 전아하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근래 사대부들의 필법은
가늘고 경박하고 날카롭고 삐뚜름하니,
이는 결코 아름다운 일이 아니다.


- 정창권의《정조의 말》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바람이 분다  (0) 2022.09.13
아침마다 기다리는 편지  (0) 2022.09.08
덴마크에서 온 두 청년  (0) 2022.09.06
아픔을 드러내는 강의  (0) 2022.09.05
행복한 일상이 좋다!  (0) 2022.09.03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덴마크에서 온 두 청년

2022. 9. 6. 09:03

덴마크에서 온
두 청년도 기억에 남는다.
산티아고 순례길을 다 걸은 후 요트를 타고
대서양을 건너 미국으로 갈 계획이라고 했다.
그때쯤에는 무역풍이 불기 시작해 바람을
이용하여 큰 바다를 건널 수 있다고 했다.
바이킹의 기질이 핏줄에 흐르고
있는 게 분명했다.


- 김인식의《자유로운 영혼으로 혼자서 걸었습니다》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마다 기다리는 편지  (0) 2022.09.08
삐틀빼틀 쓴 글씨  (0) 2022.09.07
아픔을 드러내는 강의  (0) 2022.09.05
행복한 일상이 좋다!  (0) 2022.09.03
'사육'이란 미명 아래  (0) 2022.09.02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아픔을 드러내는 강의

2022. 9. 5. 09:05

제 아픔을 드러내는 강의를
하는 것이 늘 반갑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 아픔이 어떤 이에게는 위로가 되고
용기가 되어 돌아갑니다. 감동이 결국 마음을 따뜻하게
하는 방법이니까요. 아픔이 있는 삶을 사는 것은 선택받은
사람입니다. 아픔이 고통스럽지만 고통을 이겨 낼 기회를
제공받은 것이니까요. 아픔을 겪어본 사람은 단단해집니다.
상처에서 새살이 돋는 시간이 걸리듯이 아픔도
사라지기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무뎌지는
시간을 견디는 일이 아픔을 통해
단단해지는 법입니다.


- 김옥수의《나는 강의하는 간호사입니다》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삐틀빼틀 쓴 글씨  (0) 2022.09.07
덴마크에서 온 두 청년  (0) 2022.09.06
행복한 일상이 좋다!  (0) 2022.09.03
'사육'이란 미명 아래  (0) 2022.09.02
두 눈을 도둑 맞아서  (0) 2022.09.01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행복한 일상이 좋다!

2022. 9. 3. 00:12

행복한 일상 속에 있더라도
노력하지 않는다면 삶은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 그래서 목표를 이루는 것보다 중요한 것이
고난을 이겨내는 힘이다. 고난을 이겨내려면
살아야 할 이유를 명확히 알아야 한다.
특히 당신이 유일무이하고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존재라는 것을
스스로 믿어야 한다.


- 켈리 최의《웰씽킹》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덴마크에서 온 두 청년  (0) 2022.09.06
아픔을 드러내는 강의  (0) 2022.09.05
'사육'이란 미명 아래  (0) 2022.09.02
두 눈을 도둑 맞아서  (0) 2022.09.01
생각하는 사람이라야 산다  (0) 2022.08.31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사육'이란 미명 아래

2022. 9. 2. 07:19

'사육'이란 미명 아래
수많은 동물들이 평생을 갇혀 지낸다.
좁은 철장에서 쓸개즙을 만드는 도구로 전락한
곰들의 참혹한 실상이 여러 차례 보도된 적도 있다.
야생에서 살아가는 동물은 갇혀 지내는 것 자체를
모른다. 두 발이 닿는 한 자유롭게 달리고 두 손이
닿는 한 자유롭게 매달리며 강이 흐르는 한
자유롭게 헤엄친다. 오직 인간만이 야생
동물의 생존권을 각종 이유로
침범하고 박탈하는 것이다.


- 김탁환의《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픔을 드러내는 강의  (0) 2022.09.05
행복한 일상이 좋다!  (0) 2022.09.03
두 눈을 도둑 맞아서  (0) 2022.09.01
생각하는 사람이라야 산다  (0) 2022.08.31
밤 11시22분  (0) 2022.08.30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두 눈을 도둑 맞아서

2022. 9. 1. 08:54

단 한 번 사는 생인데,
두 눈을 도둑맞아서 많이 억울했습니다.
그래도 쓸 수 있고, 읽을 수 있고, 들을 수
있으니까, 말할 수 있으니까,
남은 감각으로라도
누려보려고 합니다.


- 김성은의《점자로 쓴 다이어리》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일상이 좋다!  (0) 2022.09.03
'사육'이란 미명 아래  (0) 2022.09.02
생각하는 사람이라야 산다  (0) 2022.08.31
밤 11시22분  (0) 2022.08.30
아침마다 나에게 하는 말  (0) 2022.08.29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생각하는 사람이라야 산다

2022. 8. 31. 09:05

마음의 활동이 곧 생각이다.
우리가 항상 활동하는 것은 우리가 항상 생각하기
때문이다. 매 순간 우리는 사물을 끌어당기거나 밀쳐낸다.
평범한 사람들은 이 과정을 의식하지 못하겠지만, 법칙을
모른다고 해서 그 귀결을 면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맨 먼저 깨달을 사실은 모든 생각이 예외 없이
현실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지금 하는 생각이 현실을 창조할
생각인지 아닌지 무슨 수로 알겠는가?


- 어니스트 홈즈의《마음과 성공》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육'이란 미명 아래  (0) 2022.09.02
두 눈을 도둑 맞아서  (0) 2022.09.01
밤 11시22분  (0) 2022.08.30
아침마다 나에게 하는 말  (0) 2022.08.29
자기 자신을 존중하는 태도  (0) 2022.08.27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밤 11시22분

2022. 8. 30. 09:15

이제 11시 22분이었다.
한 가지 사실만은 확실했다.
노라는 내일을 맞이하고 싶지 않았다.
자리에서 일어나 펜과 종이를 꺼냈다.
죽기에 딱 좋은 때였다.


- 매트 헤이그의《미드나잇 라이브러리》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눈을 도둑 맞아서  (0) 2022.09.01
생각하는 사람이라야 산다  (0) 2022.08.31
아침마다 나에게 하는 말  (0) 2022.08.29
자기 자신을 존중하는 태도  (0) 2022.08.27
신비로운 기억의 하모니  (0) 2022.08.26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아침마다 나에게 하는 말

2022. 8. 29. 09:16

아침마다
너 자신에게 이런 말을 하라.
오늘 나는 주제넘고 배은망덕하며
뻔뻔스럽고 정직하지 못하며 시기심이 많고
사교성도 없는 사람들과 만나게 될 거라고 말이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자성록》중에서 -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자기 자신을 존중하는 태도

2022. 8. 27. 09:23

메멘토 모리와 아모르파티.
'죽음을 기억하라'와 '운명을 사랑하라'는
죽음과 삶이라는 상반된 의미의 조합이지만
결국 같은 방향을 바라봅니다. 내가 언젠가 죽을 것이니
살아 있는 지금 이 순간을 소중히 하라는 것이고, 그러니
지금 네가 처한 너의 운명을 사랑하라는 것이죠. 저는
이런 태도가 자존 같습니다. 어떤 위치에 있건,
어떤 운명이건 스스로 자기 자신을
존중하는 것.


- 박웅현의《여덟 단어》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 11시22분  (0) 2022.08.30
아침마다 나에게 하는 말  (0) 2022.08.29
신비로운 기억의 하모니  (0) 2022.08.26
NK세포를 만드는 가장 쉽고 빠른 방법  (0) 2022.08.25
어떤 일이 잘되지 않을 때  (0) 2022.08.24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신비로운 기억의 하모니

2022. 8. 26. 09:07

인류는 끊임없이
앞으로 앞으로 돌진해왔다.
그 속도와 우리가 떠나온 거리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에이브러햄 링컨이 말한 '신비로운
기억의 하모니'를 통해 머나먼 과거와 연결되어 있다.
나는 그 하모니가 생명이 시작된 35억 년 전까지 이어져
있는 모습을 상상한다. 무수히 많은 조상이 무수히
많은 결합을 통해 남긴 유산으로 우리가 존재하게
되었으니 터무니없는 상상은 아닐 것이다.


- 닐 올리버의《잠자는 죽음을 깨워 길을 물었다》중에서 -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NK세포를 만드는 가장 쉽고 빠른 방법

2022. 8. 25. 09:49

NK세포를 양산하는 '웃음'.
나는 오래전부터 '고도원의 아침편지'의 왕팬이다.
일어나자마자 다음메일을 열어 아침편지를 읽고 있다.
짧은 글 속에 깊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서이다. 한데
메시지의 말미에는 늘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라는
멘트를 넣고 있다. 그만큼 웃음을 강조한 것이다.


- 박태호의《혼자서도 고물고물 잘 놀자》중에서 -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