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results for '고도원의 아침편지'

  1. 2022.11.07 -- 아이를 현명하게 키우려면?
  2. 2022.11.06 -- 몸으로 읽는다
  3. 2022.11.04 -- 심각성
  4. 2022.11.03 -- 적정 긴장
  5. 2022.11.02 -- 편가르기
  6. 2022.11.01 -- 최악의 사태는 막을 수 있었다
  7. 2022.10.31 -- 아비규환
  8. 2022.10.29 -- 언어 너머의 우주
  9. 2022.10.28 -- 겸손한 성품
  10. 2022.10.27 -- 피곤을 모르는 건강체
  11. 2022.10.26 -- 사람 사이 간격
  12. 2022.10.25 -- 명상이 뇌를 바꾼다

아이를 현명하게 키우려면?

2022. 11. 7. 08:56

내가 비로소
깨닫게 된 것이지만,
아이에게 그냥 뭔가를 가르치는 것보다
소크라테스에 관한 소소한 일화들을 들려주는
것이 훨씬 더 큰 효과가 있었다. 그런 일화들은
현명하게 산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를
아이가 스스로 생각해 보도록
자극을 주었다.


- 도널드 로버트슨의《로마 황제처럼 생각하는 법》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미래로 가는 길  (0) 2022.11.09
지금 당장!  (0) 2022.11.08
몸으로 읽는다  (0) 2022.11.06
심각성  (0) 2022.11.04
적정 긴장  (0) 2022.11.03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몸으로 읽는다

2022. 11. 6. 22:35

알았으면 행해야 한다.
내가 깨달은 바를 삶 속에서 살아낼 때
내가 새긴 그 문장을 비로소 안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어쩌면 그것이 진정 몸으로 읽는 것이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책을 읽고 문장을 기록하고
거듭 종이 위에 손수 새기는 것은
그 첫 번째 걸음일 것이다.


- 박웅현의《문장과 순간》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당장!  (0) 2022.11.08
아이를 현명하게 키우려면?  (0) 2022.11.07
심각성  (0) 2022.11.04
적정 긴장  (0) 2022.11.03
편가르기  (0) 2022.11.02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심각성

2022. 11. 4. 09:04

모든 내부 문제는
암과 같아서 초기에는 드러나지 않고,
구성원들은 그 심각성을 잘 느끼지 못한다.
시스템이 완전히 곪아 복구가 불가능할 때가
되어서야 깨닫게 된다. 많은 사람들이 세월호 사태를
두고 마치 우연에 의해 일어난 재해인 양 말했고
이 일을 계기로 뭔가 획기적인 개선이 있을 것처럼
굴었다. 하지만 우리 팀 대부분의 의견은 같았다.
'터질 일이 터진 것뿐이다' 그것이 우리가
보는 명확한 현실이었다.


- 이국종의《골든아워 2》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를 현명하게 키우려면?  (0) 2022.11.07
몸으로 읽는다  (0) 2022.11.06
적정 긴장  (0) 2022.11.03
편가르기  (0) 2022.11.02
최악의 사태는 막을 수 있었다  (0) 2022.11.01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적정 긴장

2022. 11. 3. 09:11

정신의학에선
'적정 긴장'이란 말이 있다.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는
적정한 수준의 긴장은 필수적으로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불안이 에너지란
의미도 여기서 비롯된다.


- 이시형의《걸어가듯 달려가라》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으로 읽는다  (0) 2022.11.06
심각성  (0) 2022.11.04
편가르기  (0) 2022.11.02
최악의 사태는 막을 수 있었다  (0) 2022.11.01
아비규환  (0) 2022.10.31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편가르기

2022. 11. 2. 09:10

우리 인간은 참 편을 가르고
상대편에게는 빗장 걸기를 좋아하네
경계를 짓고 울타리를 치는 일들이
언제부터 생겨났을까? 아마
인간 삶의 자리 태초부터
아니었을까?


- 김성호, 류해욱 신부의 연작시집 《햇살 속 그리움 그리고
영성》에 실린 시 <고개 숙인 벼들을 바라보며> 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각성  (0) 2022.11.04
적정 긴장  (0) 2022.11.03
최악의 사태는 막을 수 있었다  (0) 2022.11.01
아비규환  (0) 2022.10.31
언어 너머의 우주  (0) 2022.10.29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최악의 사태는 막을 수 있었다

2022. 11. 1. 09:10

가끔 나는 생각했다.
내가 그 조기 신호를 조금만
더 진지하게 생각했다면, 그렇게
가벼이 넘겨버리지 않았다면, 최악의 사태는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결국 귀를 틀어막은
내 선택의 대가는 비쌌고, 나는 그 값을
참으로 호되게 치렀다.


- 노라 마리 엘러마이어의《나는 괜찮을 줄 알았습니다》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정 긴장  (0) 2022.11.03
편가르기  (0) 2022.11.02
아비규환  (0) 2022.10.31
언어 너머의 우주  (0) 2022.10.29
겸손한 성품  (0) 2022.10.28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아비규환

2022. 10. 31. 09:02

항구는 여러 곳에서
급파된 의료진으로 분주했으나
구조된 사람은 없었다. 현장을 아는 사람도
상황을 파악하는 사람도 없었으며 지휘자도
지시도 없는 그저 아비규환의 광경이었다.
그런데 배가 다 가라앉고 나니 모든 것이
분주하게 움직였다. 속에서 욕지기가
솟아올랐다. 발밑이 허물어지는 것
같았다. 그래... 이게 한국 사회
기본 체력이지...


- 이국종의《골든아워 2》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가르기  (0) 2022.11.02
최악의 사태는 막을 수 있었다  (0) 2022.11.01
언어 너머의 우주  (0) 2022.10.29
겸손한 성품  (0) 2022.10.28
피곤을 모르는 건강체  (0) 2022.10.27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언어 너머의 우주

2022. 10. 29. 23:35

현대 철학의 거물 비트겐슈타인은
그의 책 <철학적 탐구>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자가 말을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그 말을
이해할 수 없다." 삶의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주어진
환경과 개인의 경험이 다르다면, 우리는 같은 말을 한다
해도 서로를 조금도 이해할 수 없다. 21세기 한국의
건물 숲속에서도 우리는 사자들을 만난다.


- 채사장의《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악의 사태는 막을 수 있었다  (0) 2022.11.01
아비규환  (0) 2022.10.31
겸손한 성품  (0) 2022.10.28
피곤을 모르는 건강체  (0) 2022.10.27
사람 사이 간격  (0) 2022.10.26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겸손한 성품

2022. 10. 28. 09:03

나는 할아버지 베루스에게
온유하고 평정한 마음가짐을 배웠다.
아버지가 남기신 명성을 듣고
나는 남자다우면서도
겸손한 성품을
배웠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명상록》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비규환  (0) 2022.10.31
언어 너머의 우주  (0) 2022.10.29
피곤을 모르는 건강체  (0) 2022.10.27
사람 사이 간격  (0) 2022.10.26
명상이 뇌를 바꾼다  (0) 2022.10.25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피곤을 모르는 건강체

2022. 10. 27. 09:05

단식과 운동과 소식을 통해
몸속에 눌어붙어 있던 똥 찌꺼기가 빠지고,
몸속에 박혀 있던 온갖 독소가 배출된다. 그러면
피가 깨끗해진다. 체온이 올라가고 몸의 간이 맞춰진다.
면역력이 강해진다. 뼈가 달궈져서 깨끗한 피를
만들어 내고, 몸의 좌우 균형이 바르게
잡히면서 자연 생명력이 극대화되어
피곤을 모르는 건강체가 완성된다.


- 오혜숙의《100세 시대의 새로운 건강법》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 너머의 우주  (0) 2022.10.29
겸손한 성품  (0) 2022.10.28
사람 사이 간격  (0) 2022.10.26
명상이 뇌를 바꾼다  (0) 2022.10.25
어떻게든 살아가는 법에 관해서  (0) 2022.10.24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사람 사이 간격

2022. 10. 26. 09:20

사람 간의 거리는
공간의 밀도를 결정한다.
공간의 밀도는 그 공간 내 사회적 관계를 결정한다.
코로나19라는 전염병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간격을
바꾸었다. 가까웠던 사람들도 멀리 떨어지게
만들었다. 사람 간의 간격이 바뀌자
사람 간의 관계가 바뀌었고,
사람 간의 관계가 바뀌자
사회도 바뀌고 있다.


- 유현준의《공간의 미래》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겸손한 성품  (0) 2022.10.28
피곤을 모르는 건강체  (0) 2022.10.27
명상이 뇌를 바꾼다  (0) 2022.10.25
어떻게든 살아가는 법에 관해서  (0) 2022.10.24
애를 쓰지 않아도 좋다  (0) 2022.10.22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명상이 뇌를 바꾼다

2022. 10. 25. 08:35

뇌를 바꾸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혹자는 뇌에
전자 칩을 심거나 컴퓨터를 연결시키는
방법을 꿈꾸기도 하고, 혹자는 뇌의 능력치를
높여주는 약물에 기대를 걸기도 한다.
하지만 기계나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뇌를 업그레이드하는 근본적인 방법이
존재한다. 바로 '명상'이다.


- 대니얼 골먼, 리처드 데이비드슨의《명상하는 뇌》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곤을 모르는 건강체  (0) 2022.10.27
사람 사이 간격  (0) 2022.10.26
어떻게든 살아가는 법에 관해서  (0) 2022.10.24
애를 쓰지 않아도 좋다  (0) 2022.10.22
아름답게 시작하라  (0) 2022.10.21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