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벽에도 길은 있다
절벽에도 길은 있다.
한 개의 길이 막히면 열 개의 길이 열린다.
- 고도원 윤인숙의《고도원 정신》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부심과 자만심의 차이 (0) | 2023.03.16 |
---|---|
넬슨 만델라의 위대한 결단 (0) | 2023.03.15 |
광고의 힘 (0) | 2023.03.13 |
탐험가들의 철저한 준비 (0) | 2023.03.10 |
그냥 들어주자 (0) | 2023.03.09 |
절벽에도 길은 있다.
한 개의 길이 막히면 열 개의 길이 열린다.
- 고도원 윤인숙의《고도원 정신》중에서 -
자부심과 자만심의 차이 (0) | 2023.03.16 |
---|---|
넬슨 만델라의 위대한 결단 (0) | 2023.03.15 |
광고의 힘 (0) | 2023.03.13 |
탐험가들의 철저한 준비 (0) | 2023.03.10 |
그냥 들어주자 (0) | 2023.03.09 |
"우리는 어릴 때부터
만족이라는 것이 물질에서 온다는
광고를 많이 보며 자랐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죠?"
"광고에서 떠드는 대로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물건을 사고
있는 것 같아요."
나는 어깨를 으쓱하며 말했다.
- 존 스트레리키의《세상 끝의 카페》중에서 -
넬슨 만델라의 위대한 결단 (0) | 2023.03.15 |
---|---|
절벽에도 길은 있다 (0) | 2023.03.14 |
탐험가들의 철저한 준비 (0) | 2023.03.10 |
그냥 들어주자 (0) | 2023.03.09 |
실수에 대한 태도 (0) | 2023.03.08 |
위험하기 짝이 없는
원정에 나서기 위해 시간을 들여
준비하는 게 당연히 해야 할 일처럼 보이지만
놀랍게도 꽤 많은 사람들이 이 과정을 건너뛴다.
등반이라면 나도 남부럽지 않게 해봤는데 눈 속에서
죽음을 맞은 탐험가들의 끔찍한 사연이 들려올
때마다 알고 보면 필수 장비를 준비하지
않았거나 기상 정보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 제임스 리드의《푸스틱 게임》중에서 -
절벽에도 길은 있다 (0) | 2023.03.14 |
---|---|
광고의 힘 (0) | 2023.03.13 |
그냥 들어주자 (0) | 2023.03.09 |
실수에 대한 태도 (0) | 2023.03.08 |
생각은 쉴 새 없이 움직인다 (0) | 2023.03.07 |
나이를 먹으면서
바뀌는 것이 어디 한둘이랴 마는,
해가 갈수록 주변에서 듣게 되는 고민의
내용이 심각해진다는 점을 유독 실감하게 된다.
천성인지 학습된 성향인지 모르겠지만 어찌 됐든,
나는 남의 이야기를 잘 들어준다.
누가 하소연하면 대책은 시원스레
마련해 주지는 못할지언정
성심껏 들어는 준다.
- 김훈종의《논어로 여는 아침》중에서 -
광고의 힘 (0) | 2023.03.13 |
---|---|
탐험가들의 철저한 준비 (0) | 2023.03.10 |
실수에 대한 태도 (0) | 2023.03.08 |
생각은 쉴 새 없이 움직인다 (0) | 2023.03.07 |
아버지와 아들 사이 (0) | 2023.03.06 |
다시 한번 말하지만
실수는 누구나 하기 마련이다.
이때 중요한 건 실수에 어떻게 대처하느냐다.
만약 당신이 실수를 직접 바로잡고 싶으며,
다시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면 상대방도
용서하기가 훨씬 수월해질
것이다.
- 제임스 리드의 《푸스틱 게임》 중에서 -
탐험가들의 철저한 준비 (0) | 2023.03.10 |
---|---|
그냥 들어주자 (0) | 2023.03.09 |
생각은 쉴 새 없이 움직인다 (0) | 2023.03.07 |
아버지와 아들 사이 (0) | 2023.03.06 |
삶의 모든 것은 글의 재료 (0) | 2023.03.04 |
생각은 쉴 새 없이 움직인다.
그것은 흐르는 물이나 공중의 대기처럼
혹은 바람에 흩날리는 풍선처럼 중심을 잡지
못하고 이리저리 움직인다. 생각의 특징은 자신이
의도하지 않은 생각, 즉 잡념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 생각은 인간의 감정, 지성 그리고 '나'라는
이기적인 자아가 실제의 삶에서 만들어낸
복잡한 결과물이다.
- 배철현의《삼매》중에서 -
그냥 들어주자 (0) | 2023.03.09 |
---|---|
실수에 대한 태도 (0) | 2023.03.08 |
아버지와 아들 사이 (0) | 2023.03.06 |
삶의 모든 것은 글의 재료 (0) | 2023.03.04 |
운이 더 좋았을 뿐이다 (0) | 2023.03.03 |
나는 어린 시절
아버지와 관계가 좋지 않았다.
무엇보다 소통이 되지 않아 힘들었다.
대학에 입학할 때까지 평생 아버지와 대화다운
대화를 나눈 시간은 아마도 다 합쳐도 2시간 분량도
안 될 것이다. 아버지와 나는 굉장히 어색한 부자
사이였다. 아버지가 날 사랑하지 않는 것은
아니었다. 경상도 출신인 아버지는 아들과
대화하는 방법에 익숙하지
않았을 뿐이다.
- 최광현의《아들은 아버지의 등을 보고 자란다》중에서 -
실수에 대한 태도 (0) | 2023.03.08 |
---|---|
생각은 쉴 새 없이 움직인다 (0) | 2023.03.07 |
삶의 모든 것은 글의 재료 (0) | 2023.03.04 |
운이 더 좋았을 뿐이다 (0) | 2023.03.03 |
첫날부터 울음바다였다 (0) | 2023.03.01 |
결국 나를 글쟁이로
만든 것은 고난의 경험이었다.
글의 재료는 행복한 시간보다 불행한 시간,
고난의 시간에 만들어지는 경우가 더 많다.
'재수 없는' 시간, 일생에서 가장 재수 없는 저점의
시간에 만들어진다. 사람을 믿었다가 한순간에 똥통에
빠진 그 재수 없는 시간이 나를 독서가로 만들었고,
고되고 힘들었던 고난이 나를 글쟁이로 만들었다.
- 고도원 윤인숙의《고도원 정신》중에서 -
생각은 쉴 새 없이 움직인다 (0) | 2023.03.07 |
---|---|
아버지와 아들 사이 (0) | 2023.03.06 |
운이 더 좋았을 뿐이다 (0) | 2023.03.03 |
첫날부터 울음바다였다 (0) | 2023.03.01 |
습득하는 속도 (0) | 2023.02.28 |
진정으로 성공한 사람들은
거만하게 행동할 의향이 전혀 없다.
자신이 남보다 잘난 것이 아니라 운이
더 좋을 뿐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들은
자기 직무가 관리라고 생각한다. 관리란
모든 사람의 최대 이익을 위해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책무를 말한다.
-데이비드 호킨스의 《데이비드 호킨스의 365일 명상》 중에서 -
아버지와 아들 사이 (0) | 2023.03.06 |
---|---|
삶의 모든 것은 글의 재료 (0) | 2023.03.04 |
첫날부터 울음바다였다 (0) | 2023.03.01 |
습득하는 속도 (0) | 2023.02.28 |
'첫 번째 펭귄'(First penguin) (0) | 2023.02.27 |
'소방관 배우자들을 위한'
무료 힐링캠프도 열었다. 당시 충주와
가까운 제천에서 큰 화재가 났다. 언론의 질타가
쏟아졌는데 그 대상이 다름 아닌 소방관이었다.
자기 목숨을 걸고 불구덩이에 뛰어들며 때로는
목숨을 잃는 직업인데 감당할 수 없는 비난을
받으니까 소방관 배우자들이 더 힘들어했다.
그래서 그분들을 위로하기 위해 배우자
무료 힐링캠프를 열었던 것이다.
첫날부터 울음바다였다.
- 고도원의《고도원 정신》중에서 -
삶의 모든 것은 글의 재료 (0) | 2023.03.04 |
---|---|
운이 더 좋았을 뿐이다 (0) | 2023.03.03 |
습득하는 속도 (0) | 2023.02.28 |
'첫 번째 펭귄'(First penguin) (0) | 2023.02.27 |
우리 삶이 올림픽이라면 (0) | 2023.02.25 |
집단의 문화를
제일 잘 가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습득하는 속도'를 꼽을 수 있다.
얼마나 빨리 새로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이다.
- 대니얼 코일의《최고의 팀은 무엇이 다른가》중에서 -
운이 더 좋았을 뿐이다 (0) | 2023.03.03 |
---|---|
첫날부터 울음바다였다 (0) | 2023.03.01 |
'첫 번째 펭귄'(First penguin) (0) | 2023.02.27 |
우리 삶이 올림픽이라면 (0) | 2023.02.25 |
꽉 쥐지 않기 때문이다 (0) | 2023.02.24 |
돌아보면 내가 이뤄온 일들이
모두 과감하게 먼저 뛰어드는 데서 시작됐다.
지금은 뉴스레터나 명상이 주류가 되었지만 아침편지와
옹달샘을 시작할 땐 불확실한 분야였다. 그 속에서 나는
나만의 길을 만들어왔다.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 가운데로 풍덩 뛰어드는 사람에게 기회가
주어지는 법이다. 내가 직접 겪었기에
할 수 있는 이야기다.
- 고도원의《고도원 정신》중에서 -
첫날부터 울음바다였다 (0) | 2023.03.01 |
---|---|
습득하는 속도 (0) | 2023.02.28 |
우리 삶이 올림픽이라면 (0) | 2023.02.25 |
꽉 쥐지 않기 때문이다 (0) | 2023.02.24 |
어부바 도리도리 잼잼 (0) | 2023.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