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사라지지 않아요

2014. 4. 17. 09:00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절대로 잃지 않아요. 
그들은 우리와 함께 합니다. 그들은
우리 생에서 사라지지 않아요.
다만 우리는 다른 방에
머물고 있을 뿐이죠. 


- 파울로 코엘료의《알레프》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중요한 것을 빠뜨렸다  (0) 2014.04.21
기적을 믿으며  (0) 2014.04.18
친구야, 너도 많이 힘들구나  (0) 2014.04.15
내가 나를 사랑하기  (0) 2014.04.14
어! 내가 왜 저기 앉아 있지?  (0) 2014.04.11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친구야, 너도 많이 힘들구나

2014. 4. 15. 09:20


힘들어도 살아가야지. 
이런 다짐을 하면 가슴 한구석이 먹먹해진다. 
심장이 가늘게 떨리고 눈가에 이슬이 맺히기도 한다. 
눈물겨워도 끝까지 걸어가야만 하는 우리의 삶에 
누군가 따뜻한 목소리로 이렇게 말해준다면 
불끈 용기가 나지 않을까. 
"친구야, 너도 많이 힘들구나." 


- 백정미의《너도 많이 힘들구나》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적을 믿으며  (0) 2014.04.18
그들은 사라지지 않아요  (0) 2014.04.17
내가 나를 사랑하기  (0) 2014.04.14
어! 내가 왜 저기 앉아 있지?  (0) 2014.04.11
잘 지내니? 잘 지내길 바란다  (0) 2014.04.10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내가 나를 사랑하기

2014. 4. 14. 09:20


용서가 
받아들임의 다른 이름이라면 
현재 자신의 삶을 받아들여야만 
스스로를 용서할 수 있을 터였다. 
더 정확히 자신의 장애를 받아들여야만 
용서가 가능했다. 


- 이승욱의《상처 떠나보내기》중에서 -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어! 내가 왜 저기 앉아 있지?

2014. 4. 11. 09:03


길을 가다가
작은 돌멩이 하나 걷어찼다.
저만치 주저앉아 야속한 눈으로 쳐다본다.
어!
내가 왜 저기 앉아 있지?
수많은 발길에 채이어 멍들고 피 흘린 것도 
모자라 내가 나에게까지 걷어차이다니.


- 차신재의《시간의 물결》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구야, 너도 많이 힘들구나  (0) 2014.04.15
내가 나를 사랑하기  (0) 2014.04.14
잘 지내니? 잘 지내길 바란다  (0) 2014.04.10
12세 소녀의 녹색뇌  (0) 2014.04.09
네가 먼저 다가가!  (0) 2014.04.08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잘 지내니? 잘 지내길 바란다

2014. 4. 10. 09:02


잘 지내니? 
난 너의 기억을 고스란히 다 갖고 있어. 
보고 싶고 궁금해. 살아 있는 동안 한 번이라도 
널 만날 수 있으면 좋겠다. 하지만 내 앞에 
안 나타나도 좋아. 잘 살고 있으면 그걸로 
돼. 그때 너를 힘들게 하던 것들이 
다 사라지고 행복해졌기를 
바란다. 


- 송정연의《당신이 좋아진 날》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나를 사랑하기  (0) 2014.04.14
어! 내가 왜 저기 앉아 있지?  (0) 2014.04.11
12세 소녀의 녹색뇌  (0) 2014.04.09
네가 먼저 다가가!  (0) 2014.04.08
아이를 벌줄 때  (0) 2014.04.07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12세 소녀의 녹색뇌

2014. 4. 9. 09:30


이제 십대의 뇌가
여전히 진행 중인 거대한 건강 프로젝트라는 
사실이 분명해지고 있다. 신경화학물질이 십대의 
머리를 씻어 내리면, 새로운 색깔, 새로운 모습, 
인생의 새로운 기회가 생긴다. 십대의 뇌는 
가공되지 않은 원석이며, 그들의 뇌는
여전히 미래를 만들어 가고 
있는 중이다.


- 바버라 스트로치의《십대들의 뇌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 내가 왜 저기 앉아 있지?  (0) 2014.04.11
잘 지내니? 잘 지내길 바란다  (0) 2014.04.10
네가 먼저 다가가!  (0) 2014.04.08
아이를 벌줄 때  (0) 2014.04.07
행복 습관, 기쁨 습관  (0) 2014.04.05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네가 먼저 다가가!

2014. 4. 8. 08:48


진정한 친구란 
슬픈 일이 있을 때보다 
좋은 일이 있을 때 진정으로 축하해주는 친구야. 
불행한 일 앞에서는 대단한 우정이 아니어도 
함께 할 수 있지만 좋은 일이 있을 때는 마음 
한구석에 질투의 감정이 나타나기 때문이지. 
지금 네게 진정한 친구는 누구누구니? 
그 이름을 한 번 적어봐. 없다면 
네가 먼저 다가가! 


- 김재용의《엄마의 주례사》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 지내니? 잘 지내길 바란다  (0) 2014.04.10
12세 소녀의 녹색뇌  (0) 2014.04.09
아이를 벌줄 때  (0) 2014.04.07
행복 습관, 기쁨 습관  (0) 2014.04.05
시어머니 병수발  (0) 2014.04.04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아이를 벌줄 때

2014. 4. 7. 11:05
인간이 
아무리 모양을 잡아준다고 해도
결국 나무는 타고난 방식으로 자란다.
어린 아이를 벌줄 때에도 이것을 기억하라.
천성이 더 강하기 때문에 아이는 
결국 그 잠재력대로 자란다.


- 레프 톨스토이의《살아갈 날들을 위한 공부》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세 소녀의 녹색뇌  (0) 2014.04.09
네가 먼저 다가가!  (0) 2014.04.08
행복 습관, 기쁨 습관  (0) 2014.04.05
시어머니 병수발  (0) 2014.04.04
사랑도 연습이 필요하다  (0) 2014.04.03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행복 습관, 기쁨 습관

2014. 4. 5. 08:40


'행복'을 습관화 해봅시다. 
'기쁨'을 습관화 해봅시다.
그렇게만 된다면 습관은 나에게 강력한 힘이 
되어 줄 것입니다. 웬만한 시련이나 역경이 
찾아와도 행복과 기쁨이라는 감정 습관의 
힘으로 손쉽게 돌파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박용철의《감정은 습관이다》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가 먼저 다가가!  (0) 2014.04.08
아이를 벌줄 때  (0) 2014.04.07
시어머니 병수발  (0) 2014.04.04
사랑도 연습이 필요하다  (0) 2014.04.03
그대는 받아들여졌다  (0) 2014.04.02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시어머니 병수발

2014. 4. 4. 09:17


결혼생활 중 
제일 힘들었던 때는 
네 할머니의 병수발을 하던 몇 년이었다.
끼니때마다 밥을 떠먹이고, 소변을 받아내고, 
심지어는 비닐장갑을 껴야 할 때마다 '내 엄마야, 
불쌍한 우리 엄마!'라고 주문을 걸면 정말 내 
엄마처럼 느껴졌어. 돌아가시기 직전까지 
"너만 있으면 된다"며 딸처럼 생각해
주셨으니 내 엄마가 맞았어. 


- 김재용의《엄마의 주례사》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를 벌줄 때  (0) 2014.04.07
행복 습관, 기쁨 습관  (0) 2014.04.05
사랑도 연습이 필요하다  (0) 2014.04.03
그대는 받아들여졌다  (0) 2014.04.02
이마에 핏방울이 맺힐 때까지  (0) 2014.04.01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사랑도 연습이 필요하다

2014. 4. 3. 09:05


사랑표현도 연습이 필요하다. 
사랑을 표현하는 방법을 학교나 직장에서 
가르쳐줄 필요가 있다. 사랑의 마음은 어떤 
형태로든 표현해야 한다. 고기도 먹어본 사람이 
먹는다고 사랑의 표현도 해본 사람이 잘한다. 
어릴 적부터 사랑을 표현하는 방법을,
형제간에도 사랑을 주고받는 방법을 
부모가 확실히 가르쳐줘야 한다. 


- 한창희의《사랑도 연습이 필요하다》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 습관, 기쁨 습관  (0) 2014.04.05
시어머니 병수발  (0) 2014.04.04
그대는 받아들여졌다  (0) 2014.04.02
이마에 핏방울이 맺힐 때까지  (0) 2014.04.01
내 인생은 내 것만이 아니다  (0) 2014.03.31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

그대는 받아들여졌다

2014. 4. 2. 09:03


자신을 받아들이는 용기는 
큰 감동을 받거나 누군가에게 이끌렸을 때 
생깁니다. 내가 사랑스럽고 중요하며 쓸모 있는 
존재라는 것, 사람들이 나를 좋아하고 나와 함께 
있는 것을 기뻐한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입니다. 
자신을 받아들이게 되면 다른 사람도 쉽게
받아들이게 됩니다. "단지 그대가 
받아들여졌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십시오."


- 류해욱의《그대는 받아들여졌다》중에서 - 


'고도원의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어머니 병수발  (0) 2014.04.04
사랑도 연습이 필요하다  (0) 2014.04.03
이마에 핏방울이 맺힐 때까지  (0) 2014.04.01
내 인생은 내 것만이 아니다  (0) 2014.03.31
담을 타고 넘는 넝쿨  (0) 2014.03.29

텍사스양 고도원의 아침편지